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만들기02
글로벌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만들기 02
1. KRX 금현물 거래 (증권사 개설)
2. 글로벌 자산 배분 - 현금(달러), 채권, 주식, 금
저번 시간에는 각각 ETF의 특징과 자산 배분의 효과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복습하자면 개인 연금 계좌에서 또는 퇴직 연금 계좌에서
다시 정리하자면,
주식을 8 대 2 또는 7 대 3 비율로
자신의 상황에 맞춰서 장기 투자하는 방법과
안전 자산을 분배하여 최대 손실 폭을 대비하는 방법을 알아봤으며,
각 ETF의 숨겨진 총 비용을 보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그렇다면 현금, 채권, 주식 3가지 비율로 자산 배분이 된다는 것인데,
요즘 핫 한 금을 추가하여 4가지 글로벌 자산 배분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단순한 포트폴리오의 3대 요소는
현금(달러), 채권, 주식 이었습니다.
거기에 금을 추가하면 4대 요소가 완성 됩니다.
그럼 금을 투자하는 방법은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금 관련 ETF를 사거나, 실물로 보유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금 ETF는 매매 차익 시 15.4%의 세금이 발생하며, 운용 보수가 비쌉니다.
차라리 실물로 보유하는 편이 더 나을 듯하지만,
바쁜 현대인이 언제 금은방을 가서 사겠습니까?
투자의 목적이라면, 오늘 소개해 드릴 방법
1. KRX 금현물 거래 계좌를 이용하세요.
![]() |
*미래에셋 MTS 모바일 - 금현물 거래 계좌 개설 화면 |
증권사 별로 KRX 금현물 거래 계좌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가능한 증권사로는
KB증권,NH투자증권,SK증권,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유안타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등이 있습니다.
각 증권사 별로 수수료 등이 다르니,
수수료는 바뀔 수 있으니 투자 전에 꼼꼼히 한번 체크해 보세요.
저는 장기 투자 계좌의 경우 미래에셋 계좌에서 개설을 해두었는데요.
아마 요즘 거의 웬만한 증권사에서는 금 거래 계좌를 만드실 수 있을 겁니다.
혹시 나중에 이용하실 수 도 있으니 개설해 놓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장점 3가지를 안내해 드리자면
1. 매매 차익 비과세 + 부과세 면제
펀드, ETF, DLS 등의 금융 상품으로 투자 시 15.4%의 세금이 발생하는 반면
금 현물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금에 대해서는 매매 차익에 대해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2. 1g 단위로 거래 가능
*1kg, 100g 단위 출고 가능 합니다. 입고는 불가능 합니다.
*출고시 출고 수수료 및 부가세 10% 발생
3. 소액으로 편리하게 안전하게 투자가 가능합니다.
언제 어디 서나 핸드폰으로 손 쉽게 투자가 가능합니다.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1. 출고수수료 10% 발생
2. 운송수수료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직접 가지 않는 이상 운송수수료가 발생합니다.
3. 보관수수료 0.00022% 발생 한국예탹결제원에 보관
이 정도의 단점이 있습니다.
2. 글로벌 자산 배분 - 현금(달러), 채권, 주식, 금
글로벌 자산 배분으로써
현금(달러), 채권 , 주식, 금 이렇게 4가지를
세팅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므로 안내해 드려봤습니다.
금이 지금 최근 많이 올라서 화두가 되고 있는데요.
저 같은 경우 따로 금을 투자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유는 금이 다른 배당이나 이자를 발생 시키지 않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별로 관심이 가지 않는 투자 상품이지만,
투자의 목적이시라면 좋은 대안이 될 것 같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